1. CSS
- CSS는 Cascading Style sheet의 약자다.
- CCS는 HTML 요소들을 디자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타일 시트 언어다.
- HTML만으로 웹 페이지를 제작할 경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며, 스타일의 변경 및 유지 보수가 매우 힘들어진다. 이를 보완하기 위해 W3C(World Wide Web Consortium)에서 CSS를 만들었다.
2. CSS 문법
h1 {color: red; font-size: 20px;}
- CSS는 선택자(Selector)와 선언부(Declaratives)로 구성된다.
- 선택자는 CSS를 적용하고자 하는 HTML 요소를 가리킨다.
- 선언부는 중괄호({ }) 안에 속성명(Property)과 속성값(Value)을 가지며, 복수로 선언할 경우 세미콜론(;)으로 구분한다.
- 여기서 속성명은 color, font-size이며, 속성값은 red, 20px이다.
- 마지막에는 세미콜론(;)으로 끝마친다.
3. HTML 선택자
- 종류 : HTML 요소 선택자, 아이디(id) 선택자, 클래스(class) 선택자, 그룹(group) 선택자, 자식(child) 선택자, 일반 동위(general sibling) 선택자, 인접 동위(adjacent sibling) 선택자
3-1 HTML 요소 선택자
p { color: blue; background-color: green;}
- HTML 요소의 이름을 직접 사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.
3-2 그룹(group) 선택자
h1, h2 { color: blue; background-color: green;}
- 여러 선택자를 같이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.
- 여러 선택자는 쉼표(,)로 구분하여 사용한다.
- 그룹 선택자는 코드를 중복해서 작성하지 않으므로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어준다.
3-3 아이디(id) 선택자
/*CSS*/
#heading { color: blue; background-color: green;}
<!-- HTML -->
<h1 id="heading">제목</h1>
- 특정 아이디 이름을 가지는 요소만을 선택한다.
- HTML 문서에서 특정 id속성값은 오직 하나만 있어야 한다.
3-4 클래스(class) 선택자
/*CSS*/
.heading { color: blue; background-color: green;}
<!-- HTML -->
<h1 class="heading">제목</h1>
<h2 class="heading">제목</h2>
- 특정 집단의 여러 요소를 한 번에 선택할 때 사용한다.
- 같은 클래스 이름을 가지는 요소들을 모두 선택한다.
3-5 자식(child) 선택자
<style>
div {
border: solid 2px black;
width: 50rem; height: 30rem;
}
div > p {color: red;}
</style>
<body>
<h1>자식 선택자</h1>
<div>
<p>div 바로 밑에 존재하는 요소</p>
<p>div 바로 밑에 존재하는 요소</p>
<span>
<p>span 바로 밑에 존재하는 요소</p>
<p>span 바로 밑에 존재하는 요소</p>
</span>
</div>
</body>
- 해당 요소의 바로 밑에 존재하는 하위 요소 중 특정 타입의 요소를 모두 선택한다.
- div > p : <div> 태그의 바로 밑에 존재하는 하위 요소 중 <p> 태그를 모두 선택한다.
3-6 일반 동위(general sibling) 선택자
<style>
div {
border: solid 2px black;
width: 200px; height: 100px;
}
div ~ p {color: red;}
</style>
<body>
<h1>일반 동위 선택자(general sibling selector)</h1>
<div>
<p>child selector</p>
<p>child selector</p>
</div>
<p>general sibling selector</p>
<p>general sibling selector</p>
</body>
- 해당 요소와 동위 관계에 있으며, 해당 요소보다 뒤에 존재하는 특정 타입의 요소를 모두 선택한다.
- div ~ p: </div> 밑에 존재하는 하위 요소 중 <p> 태그를 모두 선택한다.
3-7 인접 동위(adjacent sibling) 선택자
<style>
div {
border: solid 2px black;
width: 375px;
overflow: hidden;
}
h1 {font-size: 20px;}
div + p {color: red;}
</style>
<body>
<h1>인접 동위 선택자(adjacent sibling selector)</h1>
<div>
<p>child selector</p>
<div>
<p>child selector</p>
</div>
<p>adjacent sibling selector or general sibling selector</p>
<p>general sibling selector</p>
</div>
<p>general sibling selector or adjacent sibling selector</p>
<p>general sibling selector</p>
</body>
- 인접 동위 선택자는 해당 요소와 동위 관계에 있으며, 해당 요소의 바로 뒤에 존재하는 특정 타입의 요소를 모두 선택한다.
- div + p: </div> 바로 밑에 존재하는 하위 요소 중 <p> 태그를 선택한다.
4. 주석
/*주석내용*/
- CSS에서 주석을 표시하고 싶을 때는 /* */안에 내용을 입력한다.
'FrontEnd >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] 링크(link), 리스트(list), 테이블(table) (0) | 2021.07.24 |
---|---|
[CSS] 글꼴 (0) | 2021.07.24 |
[CSS] 텍스트(text) 속성 (0) | 2021.07.24 |
[CSS] 배경(background) (0) | 2021.07.23 |
[CSS] CSS 적용 (0) | 2021.07.23 |